감속기 기어박스 선정
기어박스의 선정은 아래 조건에 따라 적절한 형식을 택해야 합니다.
1 . 하중계수의 결정
– 피동기의 하중 성질과 1일 평균 운전시간을 고려하여 하중계수를 정합니다(29페이지 표1) 동하중계수 참조).
2 . 과부하의 확인
– 기동시 및 운전중에 나타나는 순간적인 과부하(지속시간 약 10초 이내)에 대해서는, 표기 허용 전달동력의 약 2배까지
견디나 과부하가 정상부하의 200% 이상일 경우는 과부하 최대치의 1/2과 등가 전달동력을 비교하여, 큰 쪽의 값으로
프레임을 정합니다.
3 . 온도상승(열용량) 확인
– 프레임이 결정되면, 실 전달동력과 열정격을 비교해서 열정격이 실 전달동력(등가 전달동력이 아님)과 같거나
그 이상이 되어야 하며, 만족스럽지 못할 때는 FAN 냉각 방식,냉각 PIPE방식, 강제윤활 냉각 방식 등을 선택해야 합니다.
등가 전달동력이 1,000kW 이상인 경우, 강제윤활 냉각방식을 채택합니다.
실 전달동력 ≤ 열정격 용량 × 온도 보정계수
아래 온도 외의 온도 보정계수는 보간법으로 구하십시오.
– 표 참고
4 . 등가 전달동력 산출
– 등가 전달동력 = 실 전달동력 × 하중계수
5 . Frame No. 결정
– 허용 전달동력표에서 회전수, 감속비로부터 구한 허용
전달동력이 등가 전달동력과 같거나 그 이상이 되는 Frame을 선정하여 주십시오.
허용 전달동력 ≥ 등가 전달동력
또는 과부하 200% 이상에 대해서는
허용 전달동력 ≤ 과부하 최대치 × 1 / 2
6 . 허용 회전수의 확인
– 고속 축의 허용 회전수는 1,800rpm 이하입니다. 이것을 넘을 때는 당사로 문의하시기 바랍니다.
⊙ 감속기 기어박스 선정
- 사진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.
- 궁금하신 사항 있으시면 고객상담센터로 문의 바랍니다.
- 다른 자료를 원하시면 ‘기술 자료’ 검색 키워드에 찾고 싶은 자료를 검색 바랍니다.
- 글에 대한 저작권은 현대모터산업(주)에 있음을 명시합니다.
- 작성자: 頭